DB/Oracle

Oracle DB - SELECT 구문

진이최고다 2023. 5. 10. 22:54

SELECT 

SELECT 구문은 SQL (Structured Query Language)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구문 중 하나이다.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조회하는 데 사용되며, 원하는 테이블의 특정 열(컬럼)을 선택하여 결과를 반환한다.

 

SELECT 구문의 기본 구조
SELECT column1, column2, ...
FROM table_name
WHERE condition
GROUP BY column1, column2, ...
HAVING condition
ORDER BY column1, column2, ... ASC|DESC
LIMIT number;
  • SELECT : 선택하고 싶은 열(컬럼)의 이름을 명시하며, 여러 열을 선택하려면 쉼표로 구분하며, 모든 열을 선택하려면 별표(*)를 사용하여 조회할 수 있다.
  • FROM : 데이터를 조회할 테이블의 이름을 명시한다.
  • WHERE : 선택한 열들 중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반환하기 위해 사용하며, 조건은 비교 연산자(=, <>, <, >, <=, >=), 논리 연산자(AND, OR, NOT) 등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.
  • GROUP BY : 결과를 특정 열을 기준으로 그룹화하며, 주로 집계 함수(AVG, COUNT, MAX, MIN, SUM 등)와 함께 사용된다.
  • HAVING : GROUP BY로 그룹화한 후에 조건을 적용하려면 HAVING을 사용한다. WHERE와 비슷하게 동작하지만, 집계 함수의 결과에 조건을 적용할 때 사용된다.
  • ORDER BY : 결과를 특정 열의 값에 따라 정렬한다. 기본적으로 오름차순(ASC)으로 정렬되며, 내림차순(DESC)으로 정렬하려면 DESC 키워드를 사용한다.
  • LIMIT : 반환되는 결과의 개수를 제한할 때 사용하며, 주로 큰 테이블에서 상위 n개의 결과만 반환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.
✒️이 순서들은 절대 바뀌면안되고, 이 순서를 절대적으로 지켜주어야 한다.

 

SELECT
구문을 사용한 예제
SELECT first_name, last_name, age
FROM users
WHERE age >= 18
ORDER BY last_name ASC, age DESC
LIMIT 10;

이 쿼리는 users 테이블에서 age가 18 이상인 데이터를 선택하고, last_name을 오름차순으로, 동일한 last_name에 대해서는 age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결과 중 상위 10개를 반환한다.